Features

[조류] 호사도요(Greater Painted-snipe) 천연기념물 제449호,멸종위기등급,수명,서식지,분류,외형,특징 등

한국에서는 보기 드문 길 잃은 새로서 1887년 암컷 1마리가  서울 부근의 논에서 채집된 기록이 있을 뿐입니다. 논이나 물가 초지, 못가·호숫가 습지에 살며  암수가 짝을 짓거나 작은 무리를 짓습니다. 날 때는 흰눈썹뜸부기처럼 다리를 밑으로 늘어뜨리고  낮게 직선으로 납니다. 일처다부제인 탓에 암컷이 구애와 과시 행동을 하는데, 지상에서 날개를 위로 뻗어 마치 나비가 날개를 퍼덕이듯  날갯짓을 하고 몸을 좌우로 움직이거나 방향을 바꾸기도…

hjkim464

[포유류] 피그미하마(Pygmy hippopotamus)- 무뎅, 분류,멸종위기등급,수명,서식지,외형,특징, 등

피그미하마 또는 애기하마 는 하마과 피그미하마속에 속하는  서아프리카 토착 반수생 포유동물입니다 . 라이베리아가 주된 거처이고 시에라리온·기니·코트디부아르에도  소수가 남아 있으며 나이지리아에서는 절멸했습니다. 하마과에 현대까지 잔존하는 2종 가운데 한 종으로,  같은 과에 속한 가장 가까운 친척은 하마이며 하마에 비해 훨씬 덩치가 작고 가볍습니다. 단독 생활을 하는 야행성 동물으로,  육상 생활에 알맞게 적응하였지만, 그와 더불어 피부를…

hjkim464

[조류] 호사비오리(Chinese merganser) 천연기념물 제448호,멸종위기등급,수명,서식지,분류,외형,특징 등

러시아 남동부, 중국 북동부,  한반도 북부(백두산)에서 번식하며,  한반도 남부와 일본에서 월동합니다. 전 세계에 2400~4500마리가  생존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 대한민국에서는 일제강점기 때 채집된 2마리 이후  62년 만인 1988년 강원도 철원군  갈말읍 토성리 남대천에서 한 쌍이 시체로 발견되었습니다. 그리고 1990년대에 한탄강에서 월동무리들이 발견되고 이후 남한강, 강촌(북한강), 대청호 등의 산악지역 맑은 하천에서  발…

hjkim464
게시물 더보기
검색결과 없음